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해리 덴트 「불황기 투자 대예측」
    재테크/주식투자 2022. 7. 16. 16:01
    반응형

     

     

     

    이 책은 2007년 세계적인 경제 예측 전문가 해리 덴트가 쓴 책이다. 이 분이 코로나까지는 예상하지 못하셨겠지만... 그래도 지금같은 시기에 읽어 보면 도움이 될 만한 책인 것 같아 간단히 써머리를 해본다. 미리미리 공부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한 지금이다.


     

    1장 <대폭락 이후 강력한 불황이 온다> p.70-71


    1. 지금 (2007년) 의 버블 붐은 곧 끝날 것이다. 2009년 후반 경기는 일시적으로 회복되겠지만 금세 강력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나타나고 이자율이 상승하고 원자재 상품 가격과 석유 가격이 급등하면서 이러한 경기 회복 국면은 오래 지속되지 못할 것이다.

    2. 아시아 주식 시장과 이머징 마켓의 거품은 이미 2007년 말 고점을 통과했다. 2010년 이전에는 큰 폭으로 하락하는 상황이 전개될 것이다.

    3. 마지막으로 전개될 거품은 2009년 말~ 2010년 중반 사이에 나타날 석유가격과 원자재 상품 가격의 거품이 될 것이다. 이것은 주식시장이 폭락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4. 2009년 중반이나 말부터 시작하여 2010년 말에 이르는 기간 동안 강력한 주가 폭락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이때 대부분의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더구나 이런 주가의 하락세는 2012년 중반이나 말까지 지속되다가 잠시 쉬는 것을 반복하면서 내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우존스 지수는 3,800선까지 하락할 것이다.

    5. 우리는 모든 자산 즉 주식, 원자재 상품, 부동산 등에서 거품이 꺼질 것으로 예상한다. 오직 현금과 단기 금융 시장만이 안전한 투자처이며, 이후 약간의 시차를 두고 신용도가 높은 장기 국채나 회사채, 국제 채권이 하락하는 금리와 디플레이션에 대비하는 안전한 투자 수단이 될 것이다.

    6. 금리가 더 하락하기 전, 장기 채권을 매수하여 높은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2010년 중반에서 2011년 중반 사이에 장기 국채, 회사채, 지방 정부채 등의 분야에서 잡을 수 있을 것이다.

    7. 2010년 말에서 2012년 중반까지 아시아 주식과 건강관리 관련주에 대한 매수 기회가 나타날 것이다.

    8. 아파트나 신혼용 주택, 별장이나 여가용 주택을 매수할 기회가 2011년 중반에서 2015년 초까지 찾아올 것이다.

    9. 유동성이 좋고 현금 흐름이 풍부한 기업은 자산을 싼 값에 사들이며 시장 점유율이 상승할 것이다.

    10. 이번 주식시장 대폭락에서 최악의 시기는 2010년 말에서 2013년 중반 사이가 될 것이다. 특히 2011년 초반 전후가 제일 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때 실업률은 12~15%에 달할 것이며, 심지어 그 이상 상승할 수도 있다.

    11. 2012년 중반에서 2017년 중반까지의 기간 중에 베어마켓 랠리가 나타날 것이다. 이때 아시아 주식시장과 건강관리 관련 주가 최고의 투자처가 될 것이다.

    12. 2017년 중반에서 2020년 초, 2023년 초까지는 강력한 하락 장세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예측 실패.. 코로나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엄청난 변수가 생김)

    13. 2023년~ 2036년까지는 또다시 세계적인 버블 붐을 맞이할 것이다. 따라서 주가 상승에 대비하여 주식을 사들일 마지막 기회는 2022년 말이 될 것이다.

    14. 중국과 동아시아 지역의 경기는 미국처럼 둔화될 것이며, 대부분 국가의 경기는 2020년대 초부터 중반에 다시 회복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2020년대에 이르면 미국과 유럽 선진국 정부의 구제 금융 조치로 인해 국제 금융시장에서 이들 국가의 위치는 오히려 상승할 것이다.




    2장 <인구 통계가 경제를 주도한다> p.113-114


    1. 인구 통계 추세는 현대에서 우리 경제를 이끌어가는 가장 중요한 힘이다. 인구 통계 추세를 이용하여 소비와 생산성이 절정에 오르는 시기를 예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비자와 노동자의 라이프 사이클을 통해 초기 단계의 기술 혁신과 그 이후 기술의 퇴장까지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우리는 향후 20~50년 앞의 인플레부터 경제성장률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인구 통계 추세를 예측할 수 있다.

    3. 기술 혁신은 근본적으로 급격하게 진행되며 장기적으로 우리의 생활 수준이 발전하도록 만드는 주된 힘이다.
    4. 기술과 그 기술이 만들어내는 신경제에는 인간과 똑같이 라이프 사이클이 있다. 그러기에 우리는 이러한 사이클을 몇십 년 앞서서 미리 예측할 수 있다.

    5. 인구 통계와 기술 사이클에 의하면 2010년에서 2023년, 2024년 까지 디플레이션에 의한 대폭락이나 경기 침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 부분에서는 예측 성공인가..)

    6. 2009년 말부터 2010년 말 사이에는 주식시장이 대폭락할 것이며 경제에서 최악의 경기 하강 국면은 2012년 중반에서 말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7. 유동성이 풍부하고 시장 지배력이 높은 기업은 이처럼 잔혹한 적자생존의 시대에 살아남을 것이며, 이들이 향후 몇십 년 동안 시장을 이끄는 주도 기업이 될 것이다.

    8. 사이클에서 가장 어려운 시기인 이 때는 현금이나 신용도가 우량한 채권을 제외한 모든 자산, 즉 부동산, 주식, 원자재 상품 등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며 전통적인 자산 배분 모델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아울러 수많은 기업과 은행이 도산할 것이다.

    9. 앞으로 전개 될 제2의 대공황 시대를 맞아 이제까지와는 전혀 다른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3장 <앞으로의 경제 및 주식 시장 시나리오>

     

    p.127
    지정학 사이클은 2018년이나 2019년 이후에는 다시 불리한 국면으로 접어든다. 그때는 세계적인 사건이나 테러 양상이 호전되기보다 오히려 악화되리라고 예상된다. 주가 역시 1980년대나 1990년대의 추세와는 달리 낮은 수준을 나타낼 것이다. 2010~2023에 이르는 경기 하락 국면에서는 주가의 저평가 양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정학 사이클에 의하면 다음 차례의 세계적인 경기 호황은 2020~2035년, 혹은 2036년이 될 것이다... 다음 차례의 경기 호황은 원자재 사이클의 상승세와 일치하면서 다시 한번 거품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주가는 이자율의 하락과 투기 증대로 인한 거품과는 다른 양상을 만들 것이다.

    장기 사이클 (2010년대부터 2020년대 중반까지의 250년 주기 혁명 사이클) 은 세계 정부와 세계 기업, 문화적인 개혁에서 기초로 작용할 것이다.. 사이클의 후반부에는 세계 대전 (!!) 이 벌어질 수 있다.. 이것은 미국의 독립전쟁, 남북전쟁, 제2차 세계대전을 포함한 전쟁의 80~84년 주기 세대 사이클과 일치한다. 당장 향후 10년 동안에는 일어나지 않겠으나, 세계 경제가 오랜 불황에서 벗어나기 시작하고 특히 아시아 열강 간에 다툼이 벌어질 2022년~ 2026년 사이에는 세계대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아시아 열강 간의 다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은 굳이 따지자면 유럽 내 전쟁이지만, 아시아와 결코 분리된 전쟁은 아니기에..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함으로써 갈등이 발생하고 있고... 중국의 강력한 성장과 북한의 도발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더욱더 위험하게 느껴진다. ㅠ 아무튼 사이클이 꽤 무섭다.ㅠ)


    p.144
    20년 주기 사이클과 40년 주기 사이클


    .... 장기적인 사이클에서 주식 시장의 바닥이 1903년, 1942년, 1982년처럼 20년마다 나타난다는 사실을 지적한 바 있으며, 따라서 다음 차례의 바닥은 2022년~2023년이 될 것이라 예측했다. (!!!!!) 그런데 이 사이클은 사실 40년 주기의 세대 사이클이나 핵심 소비 인구 사이클의 하부 사이클일 따름이다. 하지만 40년 주기로 나타나는 20년 만의 주식 시장 바닥이 만들어지면 이후 주식 시장은 활황이 되는 경향이 크다.... 최소한 2022년 말 이전에는 지속적인 강세 시장이 전개되기 어려울 것이다.

    ------ 우리의 사이클을 모두 종합하여 고려한다면 단기적으로 절호의 주식 매수 기회는 2012년 중반에서 말까지가 될 것이다. 이르면 2010년 말부터 2011년 중반이 될 수도 있다. 장기적으로 보아 최고의 매수 시기는 2019년 말 혹은 2020년 초에서 2020년 중반에서 말 사이에 만들어질 것이다. (지금 매수하기 좋은 시기인 것은 맞는 것 같지만.. 하락장이 더 길어질 것에 대한 염려도 놓을 수 없다.) 2014년 말은 중기적으로 매수 기회이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